요즘 코로나19 유행으로 원격 수업, 줌(zoom) 콘퍼런스, 재택근무 영상 회의가 기본적인 소통 수단과 사회 활동이 됐다. 만나서 하던 회의나 미팅 대부분이 이제 비(非)대면으로 이뤄지고 있다. 코로나 화상 회의 시대에서는 첫 인사말이 “안녕하세요?”가 아니라 “잘 들리세요?”라는 우스개도 나온다.
직접 얼굴 보고 만나서 대화할 때는 상대 목소리 톤이나 얼굴 표정 변화, 섬세한 제스처 등을 느끼면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.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 교수는 “뇌는 언어와 대화 분위기, 고개 기울어진 각도, 몸짓 등을 취합해 종합적으로 판단한다”며 “상대가 말로는 ‘다음에 차 한잔해요’라고 해도, ‘다시 보기 어렵겠구나’라고 판단하는 이유”라고 말했다.
비대면 영상 모니터 대화에서는 아무래도 그런 미묘한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. 자칫 상대의 감정과 반응을 놓쳐 제대로 된 소통에 실패할 수도 있다. 하지만 모니터 속에 등장하는 얼굴 표정과 손동작은 그나마 선명한 뉘앙스를 반영하기에, 여기에 관심을 기울이면 상당한 비(非)언어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정신과 의사들과 행동심리학자들은 말한다.
◇손 움직임은 몸으로 하는 언어
어떤 이가 손으로 한쪽 턱을 괴고 먼 산 보듯 하고 있다면, 지금 대화에 관심이 없거나, 딴생각 중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. 이는 손짓 언어의 고전이다. 이처럼 손가락 동작에는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. 2015년 호주에서 의과대학 학생들을 상대로 한 실험에 따르면, 학생들은 강의를 들으며 한 시간에 23회 이상 손으로 얼굴을 만졌다. 사람은 손을 얼굴로 올려 무의식으로 뭔가를 뜻하는 몸짓 언어를 쓴다. 말로는 ‘괜찮다’라고 하고, 몸으로는 ‘싫은데’라는 상반된 내용을 표현했을 때, 상대편 뇌는 말보다 ‘보디랭귀지’를 더 진심으로 받아들인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.